본문 바로가기
영화와 드라마

쌍문동 골목길을 다시 걷다: 응답하라 1988 찐리뷰 & 추억 소환

by creatorwon 2024. 12. 19.
반응형

  [목차]

 

 

응답하라 시리즈는 '응답하라 1997'(2012), '응답하라 1994'(2013), 그리고 '응답하라 1988'(2015)로 이어지는 명작 시리즈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선호하는 작품이 첫 번째 시리즈인 '응칠'이지만, 이번에는 '응팔'을 먼저 리뷰해 보려 합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최근 '응팔' OST가 머릿속에서 맴돌며 과거의 추억을 소환하고 있기 때문이죠. 언젠가 '응칠'도 리뷰할 예정이니, 이번에는 '응팔'의 잔잔한 매력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응답하라-1988-포스터-1

 

'응팔' 리뷰는 왜 어려울까?

기존의 리뷰 방식은 기승전결에 따라 드라마의 플롯을 설명하고 명확한 갈등과 해결 과정을 정리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응팔'은 이런 구조와 거리가 멉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큰 사건 없이 잔잔하게 흘러가는 강물 같은 작품이죠. 오히려 당시를 살았던 이들에게는 그 자체로 추억을 더듬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리뷰를 작성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런 점이 '응팔'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기억을 따라가며 시작하는 리뷰

, 이제 추억 속 쌍문동으로 떠나봅시다. 1988년 서울 도봉구 쌍문동이라는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드라마의 주인공과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곳에서 같이 살아가는 다섯 친구와 그들의 가족 이야기는 웃음과 눈물, 그리고 따뜻한 감동으로 가득합니다.

 

'응팔'은 이웃 간의 정과 가족의 따뜻함, 그리고 우정과 사랑이 얽힌 소소한 에피소드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었죠. 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잔잔하지만 깊은 여운이 남는 작품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응팔'은 명확히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드라마입니다. 자극적이지도, 극적인 반전도 없지만 그 자체로 우리의 마음을 울리고 웃게 만듭니다. 단순한 리뷰로 모든 매력을 담아내기는 어렵지만, 이 글을 통해 잠시라도 쌍문동의 골목길을 떠올릴 수 있었다면 충분히 성공한 리뷰 아닐까요? 여러분도 다시 한 번 '응팔'의 세계로 빠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추억 속으로 함께 떠나보자고요

 

개요

'응답하라 1988' 2015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1988년 서울 도봉구 쌍문동을 배경으로 한 가족과 이웃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1980년대 한국 사회와 문화를 생생하게 재현하며 따뜻한 가족애와 친구들 간의 우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특히 당시의 생활상을 디테일하게 담아내며, 시청자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가족, 이웃, 그리고 첫사랑의 풋풋함까지 다루며 단순한 드라마 이상의 의미를 전달한 작품입니다.

등장인물

l  성덕선 (혜리 분): 쌍문여고 2학년으로, 활발하고 사랑스러운 성격의 소녀입니다. 약간 푼수끼가 있지만, 가족과 친구들 사이에서 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갑니다.

 

l  김정환 (류준열 분): 무뚝뚝하고 표현에 서툰 소년으로, 덕선을 짝사랑하지만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지 못합니다. 결국 고백 같지 않은 애절한 고백으로 마음을 정리하며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캐릭터입니다.

 

l  최택 (박보검 분): 천재 바둑기사로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격이지만, 덕선에게는 한결같은 사랑을 보여줍니다. 멍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세심하게 모든 상황을 챙기는 매력적인 인물입니다.

 

l  성보라 (류혜영 분): 덕선의 언니로, 강단 있고 현실적인 성격의 서울대생입니다. 까칠한 성격 탓에 덕선과 자주 티격태격하지만, 덕선의 친구인 선우와 비밀 연애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l  성선우 (고경표 분): 모범생 이미지의 따뜻한 청년으로, 친구들과 가족에게 늘 듬직한 존재입니다. 특히 보라와의 비밀 연애는 드라마의 주요 재미 중 하나입니다. 선한 성격과 책임감 넘치는 모습과 말투가 매력 포인트입니다.

 

l  성동일 (성동일 분) & 이일화 (이일화 분): 덕선의 부모님으로, 따뜻하고 헌신적이며, 현실적인 부모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l  김정봉 (안재홍 분): 정환의 형으로, 대학 진학에 번번이 실패하지만 특유의 낙천적 성격과 재치 있는 행동으로 사랑받는 캐릭터입니다. 그의 로또와 음식 사랑은 드라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미를 선사합니다.

 

l  류동룡 (이동휘 분): 유머와 개성이 넘치는 친구로, 드라마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합니다.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로, 그의 엉뚱한 행동과 대사는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줍니다.

 

l  노을 (최성원 분): 조용하고 내성적인 캐릭터입니다. 작은 역할에도 불구하고 노안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l  라미란 (라미란 분): 정환과 정봉의 어머니로, 골목의 활력소 같은 존재입니다. 특유의 유머와 넘치는 에너지로 웃음을 주며, 다른 가족들과의 케미도 탁월합니다.

 

l  김성균 (김성균 분): 정환과 정봉의 아버지로, 서툴고 엉뚱한 모습으로 웃음을 주지만, 그 속에는 깊은 가족애가 담겨있는 듯합니다.

 

l  최무성 (최무성 분): 택의 아버지로, 무뚝뚝하지만 속정 깊은 캐릭터입니다. 아들 택을 위해 모든 것을 내어주는 모습에서 감동을 선사합니다.

 

l  류재명 (유재명 분): 동룡의 아버지로 쌍문동 골목의 이웃이자, 코믹한 분위기를 이끄는 캐릭터입니다. 일상 속 웃음과 잔잔한 감동을 더하는 감초 같은 역할을 맡습니다.

 

l  김선영 (김선영 분): 선우의 어머니로, 홀로 두 아이를 키우며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그녀의 따뜻하고 현실적인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등장인물들을 살펴보느라 조금 지루하셨을 수도 있겠지만, 드라마 속에서는 모두가 주인공처럼 느껴져서 이렇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드라마를 볼 때는 무심코 지나쳤는데, 생각해 보니 많은 출연진이 실제 이름으로 등장했네요.

응답하라-1988-포스터-2

줄거리/플롯 구성

: 1988, 쌍문동 골목의 평범한 일상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온 나라가 뜨거웠던 시절, 서울 도봉구 쌍문동의 작은 골목에서는 다섯 가족이 이웃으로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성덕선, 김정환, 최택, 성선우, 류동룡, 이 다섯 친구는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라며 형제처럼 친밀한 사이를 유지합니다.

 

덕선의 집은 삼남매로 늘 시끌벅적하고, 택은 바둑 천재로 승부의 세계를 살아가고 있으며, 선우는 듬직한 맏아들로 가족의 기둥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평범한 듯 보이지만 각자의 이야기가 얽히며 쌍문동 골목은 특별한 추억으로 채워지기 시작합니다.

 

: 우정과 사랑, 그리고 가족 간의 이야기가 얽히다

골목 친구들 사이에서는 풋풋한 첫사랑의 감정이 싹트고, 가족들 사이에서는 크고 작은 갈등과 화합의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정환은 덕선에 대한 짝사랑을 숨기며 애틋한 감정을 품고 있지만 표현하지 못하고, 택은 담담하면서도 한결같은 모습으로 덕선을 향한 마음을 보여줍니다.

 

한편, 덕선의 언니 보라는 선우와 몰래 연애를 시작하며 가족들과의 갈등을 마주하게 됩니다.

 

동룡과 정봉은 특유의 유머와 개성을 발휘하며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 주고, 어른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자식들을 사랑하며 살아갑니다.

 

각 가정의 에피소드와 인물들의 관계 변화는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눈물, 그리고 공감을 동시에 선사합니다.

응답하라-1988-포스터-3

 

: 선택의 순간과 감정의 갈림길

시간이 흐르며, 친구들은 우정과 사랑 사이에서 각자의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을 맞이합니다.

 

정환은 덕선을 향한 자신의 감정을 더 이상 숨기지 못하고 결국 거짓처럼 고백하지만, 택과의 관계를 의식해 뒤로 물러납니다.

 

택은 고백 대신 행동으로 덕선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보라와 선우는 서로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가족과의 충돌을 감수합니다.

 

각 인물들은 갈등과 고민 속에서 성장하며, 관계의 의미를 깊이 깨닫게 됩니다.

 

: 이별과 새로운 시작

모두가 성인이 되어 각자의 길을 찾아 떠나며, 쌍문동 골목에도 변화가 찾아옵니다.

 

덕선은 스튜어디스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택과의 사랑도 이어집니다.

 

보라와 선우는 가족들의 축복 속에서 결혼에 성공하며, 정환은 자신의 감정을 담담히 받아들이고 새로운 길을 향해 나아갑니다.

 

쌍문동 골목에서 함께했던 시간은 끝났지만, 그곳에서 피어난 우정과 사랑은 시청자들과 함께 모두의 가슴속에 영원히 남아 있습니다.

 

 

'응답하라 1988'은 특별한 사건 없이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진 작품입니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우리가 잊고 지냈던 소중한 감정을 떠올리게 하는 이 드라마는, 시청자들에게 잔잔한 감동과 따뜻한 여운을 선물했습니다.

시청 포인트, 꼭 챙겨봐야 할 것

l  현실감 넘치는 시대 배경: 1980년대의 의상, 소품, 음악 등이 완벽히 재현되어 당시의 향수를 불러일으킵니다.

 

l  가족과 이웃의 따뜻한 이야기: 각 가정의 이야기를 통해 사랑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l  현실적이고 공감되는 캐릭터들: 누구나 주변에서 본 듯한 인물들의 감정과 행동이 리얼하게 그려집니다.

 

l  명장면과 명대사: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장면들과 감동적인 대사들이 다수 있습니다.

 

l  OST: 감성적인 음악이 드라마의 몰입감을 더해주고, 드라마가 끝났는데도 시청자들의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첨부1] 명장면, 명대사

l  덕선과 아버지의 대화: "아빠도 아빠가 처음이라"

  [ 동영상 출처 ]  유투브 , 1 분꿀잼

 

l  정환의 고백: 덕선을 향한 진심이 담긴 대사와 표정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울렸습니다.

[ 동영상 출처 ]  유투브 , tvN D ENT

 

l  그 시설 아련한 첫 등장

[ 동영상 출처 ]  유투브  tvN DRAMA

 

l  정환의 독백

운명은 시시때때로 찾아오지 않는다.

적어도 운명적이라는 표현을 쓰려면, 아주 가끔은 우연이 찾아드는 극적인 순간이어야 한다.

그래야 운명이다.

그래서 운명의 또다른 이름은 타이밍이다.

만일 오늘 그 망할 신호등에 한 번도 걸리지 않았다면, 그 빌어먹을 빨간 신호등이 날 한 번이라도 도와줬다면 난 지금 운명처럼 그녀 앞에 서 있을지 모른다.

내 첫사랑은 늘 그 거지같은 그 거지같은 타이밍에 발목 잡혔다.

그 빌어먹을 타이밍에.

그러나 운명은 그리고 타이밍은 그저 찾아오는 우연이 아니다.

간절함을 향한 숱한 선택들이 만들어 내는 기적 같은 순간이다.

주저 없는 포기와 망설임 없는 결정들이 타이밍을 만든다.

그 녀석이 더 간절했고 난 더 용기를 냈어야 했다.

나빴던 건 신호등이 아니라 타이밍이 아니라 내 수많은 망설임들이었다.

 

 

이 외에도 명대사가 너무 많은데, 손가락이 아파서 여기서 멈추겠습니다. 직접 드라마를 다시 보면서 그 간절함과 안타까움과 따뜻함을 느껴보세요.

[첨부2] OST 목록 및 대표곡

l  박보람 혜화동 (혹은 쌍문동)

[ 출처 ]  유투브 , Stone Music Entertainment

 

l  이적 - '걱정말아요 그대'

[ 출처 ]  유투브 , Stone Music Entertainment

 

l  김필 - '청춘'

[ 출처 ]  유투브 , Stone Music Entertainment

 

l  오혁 – ‘소녀

[ 출처 ]  유투브 , Stone Music Entertainment
응답하라-1988-OST-목록

[첨부3] 함께 볼만한 한국 드라마 추천

l  '슬기로운 의사생활 1, 2’ (2020, 2021)

 

l  응답하라 1994' (2013)

응답하라-1994-포스터

 

l  '응답하라 1997' (2012)

[첨부4] 주인공별 작품활동

혜리

l  드라마: '일당백집사' (2022), ‘청일전자 미쓰리’ (2019), ‘응답하라 1988’ (2015)

 

l  영화: ‘빅토리’ (2024), '물괴' (2018)

 

류준열

l  드라마: '인간실격' (2021), ‘응답하라 1988’ (2015)

 

l  영화: '외계+1, 2' (2022, 2024), ‘올빼미’ (2022), ‘봉오동 전투’ (2019), ‘’ (2019)

외계인-2부-포스터
외계+인 2부 (2024)

 

박보검

l  드라마: '청춘기록' (2020), ‘남자친구’ (2018), ‘구르미 그린 달빛’ (2016), ‘응답하라 1988’ (2015)

구르미-그린-달빛-포스터
구르미 그린 달빛 (2016)

 

l  영화: '원더랜드' (2024), ‘서복’ (2021), ‘차이나타운’ (2015), ‘명량’ (2014)

[첨부5] 작가와 연출자 작품활동

이우정 작가

l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 (2021, 2020), '응답하라' 시리즈 전작

 

신원호 PD

l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리즈 (2021, 2020), '슬기로운 감빵생활' (2017), ‘응답하라시리즈 전작

반응형